Ffightingseok

쿠루, BMTS, BSS로 살펴본 LG에너지솔루션의 BaaS 비전

This entry is part 31 of 31 in the series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의 BaaS 사업은 배터리를 소유하지 않고 서비스로 제공하는 혁신적인 모델입니다. 쿠루(KooRoo), BMTS(Battery Management Total Solution), BSS(Battery Swapping Station)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고 배터리 생애주기를 통합 관리하며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제조를 넘어 서비스 중심의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배터리의 생애주기(생산, 사용, 회수, 재활용)를 시각화한 순환형 다이어그램

트럼프의 2024년 대선 승리, 한국 배터리 기업에 미칠 영향은?

This entry is part 30 of 31 in the series 배터리

트럼프의 2024년 대선 승리는 IRA 수정, 미중 갈등, 보호무역주의 강화, 미국 전기차 시장 둔화와 같은 도전을 한국 이차전지 기업들에게 안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중국 공급망이 약화되면, 한국 기업들이 미국의 핵심 파트너로 부상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분석하고, 미국 내 현지화, 동맹국 협력, 기술 혁신을 통한 한국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제안합니다.

그림1. 인플레이션 감축법 : 미국의 보호무역 장벽을 넘고 있는 K배터리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한국 이차전지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

This entry is part 29 of 31 in the series 배터리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한국 이차전지 기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합니다. IRA의 주요 내용과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특히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의 사례를 다루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술 혁신, 정부-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IRA 시대에서 한국 이차전지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합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 (IRA)

BYD 전기차, 2025년 한국 상륙! 아토3·돌핀·씰 완전 분석

This entry is part 28 of 31 in the series 배터리

2025년 BYD는 아토3(소형 SUV), 돌핀(소형 해치백), 씰(중형 세단) 등 3종의 전기차를 한국에 출시합니다. 합리적 가격과 혁신적 배터리 기술로 경쟁력을 갖췄지만, 현대·기아·테슬라와의 경쟁, 중국 브랜드에 대한 선입견, 충전 인프라 구축 등이 성공의 주요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BYD 아토3

배터리 4대 소재 – 음극 활물질 (탄소재)

This entry is part 27 of 31 in the series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음극 활물질에 대해 다루며, 음극이 갖추어야 할 조건과 주요 소재인 천연 흑연, 소프트 카본, 하드 카본의 특성을 설명했습니다. 각각의 소재는 에너지 용량, 충방전 특성, 안정성에서 고유의 장단점을 가지며, 이를 통해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을 결정짓습니다.

천연 흑연

배터리 4대 소재 – 분리막 쉬운 설명

This entry is part 26 of 31 in the series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전성과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분리막에 대해 알아봅니다. 분리막의 역할, 제작 공정, 최신 코팅 기술을 통해 분리막이 배터리의 화재 예방과 안정성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설명했습니다. PE/PP/PE 3중막 구조와 고분자, 세라믹 코팅을 통해 분리막의 내열성과 내구성을 강화하는 최신 설계 트렌드도 소개합니다.

분리막 개념도

배터리 4대 소재 – 액체 전해질

This entry is part 25 of 31 in the series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액체 전해질이 배터리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핵심 매개체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 전해질이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봅니다. 액체 전해질은 유기 용매, 리튬염, 다양한 첨가제로 구성되며, 각각의 요소가 배터리의 충전, 방전,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림1. 리튬 이온 배터리 충전 과정

고등학생도 이해하는 배터리 기초 : 에너지 밀도 (Energy Density)

This entry is part 23 of 31 in the series 배터리

에너지 밀도의 정의와 개념, 부피 에너지 밀도와 중량 에너지 밀도의 차이를 설명하며, 이를 높이기 위한 기술적 접근 방법들을 알아봅니다. 고에너지 밀도의 장단점, 배터리의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에너지 밀도가 미치는 영향, 소재 및 설계 혁신을 통한 기술적 발전,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설명합니다.

(그림 : 큰 에너지 밀도 vs 작은 에너지 밀도)
Scroll to Top